본문 바로가기
업무 스킬

8단계의 스토리텔링 기법을 알아보자 (하몬서클)

by 섭슈머 2024. 6. 2.
반응형

 

스토리텔링에 대한 전통적인 기법인 하몬서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하몬의 스토리텔링은 미국의 시나리오 작가이자 프로듀서인 댄 하몬(Dan Harmon)이 개발한 스토리 구조 이론입니다. 이 방법은 이야기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해하고,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도구로 알려져 있습니다. 하몬서클(Story Circle)이라고도 불리는 이 방법은 여덟 단계로 구성됩니다.


하몬의 스토리 서클 (하몬서클)

 

 

 

하먼의 스토리 서클은 다음과 같은 여덟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
 

 

01. 주인공이 있는 안정된 세계 (You - A character is in a zone of comfort)

- 이야기의 시작점으로, 주인공이 편안하고 익숙한 환경에 있습니다. 평범한 일상을 보여줍니다.

 

02. 필요/ 욕구 (Need - But they want something)

- 주인공이 무언가를 원하거나 필요로 하게 됩니다. 이는 이야기를 움직이게 하는 동기가 됩니다.

 

03. 낯선 상황으로의 진입 (Go - They enter an unfamiliar situation)

- 주인공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익숙한 환경을 떠나 새로운 상황에 들어갑니다.

 

04. 적응 및 탐색 (Search - Adapt to it)

- 주인공이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고 탐색하며 도전을 겪습니다.

 

05. 목표를 달성하거나 실패 (Find - Get what they wanted)

- 주인공이 원하던 것을 얻거나, 목표에 도달합니다.

 

06. 대가를 치름 (Take - Pay a heavy price for it)

-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주인공이 대가를 치르거나 희생을 합니다. 이로 인해 중요한 교훈을 얻습니다.

 

07. 돌아옴 (Return - Then return to their familiar situation)

- 주인공이 익숙한 환경으로 돌아옵니다. 이때 주인공은 변화되거나 성장한 상태입니다.

 

08. 변화된 상태 (Change - Having changed)

- 주인공이 처음과는 다른, 변화된 상태로 이야기가 끝납니다. 주인공은 새로운 통찰이나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.

 

 


 

하몬서클을 활용했을 때의 장점

 

 

하몬 서클은 스토리를 간단하고 구조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돕습니다. 하몬 서클을 활용하면 복잡한 정리가 잘 되고 거의 모든 종류의 이야기에 적용이 되기 때문에 굉장히 편리하고 이야기를 한눈에 들여다볼 수 있게 해 줍니다. 그리고 알게 모르게 이미 많은 영화나 드라마 소설 등의 장르에서 하몬 서클의 방식으로 이야기 구조가 전개되어 있는 작품들이 많기 때문에 우리에게 굉장히 익숙해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
 

  • 간결함: 하먼의 스토리 서클은 복잡한 이야기를 간단하게 구조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 여덟 단계로 이루어진 이 구조는 기억하기 쉽고 적용하기 쉽습니다.
  • 보편성: 이 방법은 거의 모든 종류의 이야기와 장르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. 영화, TV 쇼, 소설, 단편 이야기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깊이 있는 캐릭터: 주인공의 욕구와 변화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구성함으로써, 캐릭터가 깊이 있고 공감할 수 있는 인물로 발전합니다.
  • 자연스러운 이야기 흐름: 각 단계를 따라가면서 이야기를 전개하면 자연스럽고 몰입감 있는 스토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.

 

반응형